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삼국시대 강성했던 고구려를 패망시킨 것은 당나라를 끌어들인 신라 뿐만이 아니라 내부의 분열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고구려 내부의 권력다툼이 제국을 쓰러뜨린 결정타였지요. 이후 후삼국 시대에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가 통일을 이루지만 신라가 챙기지 못한 고토는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외세를 끌.. 더보기 주식으로 돈 좀 날리신 분들... 앞으로는 정규방송들의 알고도 모르는 척 하는 위장 보도에 속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만큼 당하고도 아직 정신들을 못차리시네요. 주가 떨어진 것이 북한의 핵실험 탓이다? 이미 쉬쉬하면서 기정 사실로 받아들였다는 언론의 뒤통수치는 기사는 못보셨나요? 요런건 아주 작게 보도되죠. 왜 일부 네티.. 더보기 북한의 핵실험 이후 카드는... 드디어 핵실험을 강행했군요. 국제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것 같기는 한데 아직 다급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북한의 핵실험 성명서를 보면 한반도를 비롯한 주변국의 비핵화와 핵군축이라는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이것을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다음 행보와 함께 미국의 움직임도 예측해 볼 수 있을.. 더보기 북한의 핵실험 발표와 반기문 장관의 당선유력 오늘 북한의 핵실험 예정발표가 속보로 나왔습니다. 반기문 장관의 유엔총장 당선이 사실상 확정적이라는 발표이후 또하나의 추석선물(?)이 푸짐하게 쏟아져 나오는 군요. 차분해야 할 추석이 들썩일만큼 나라밖에서 폭풍의 전조가 용틀임하는 중입니다. 북한의 핵실험이 가져올 국제정세의 변화 우.. 더보기 대통령 경호공백 10여분간의 경호공백 사태에 대해서 분노를 터뜨리는 분들이 많으시군요. 그런데 이거 아십니까? 이런 황당한 일이 한번더 있었다는 것을요.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후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했을때도 그러한 일이 있었습니다. 이걸 경호공백이라고 하기는 힘들지만 저로서는 의문이 일었었거든요. 당시.. 더보기 박원순... 역할을 알고있는 사람입니다. 아름다운 재단을 설립, 운영하고 희망제작소를 통해 사회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 박원순 상임이사가 대권후보 영입설을 일축하며 정치를 멀리할 생각임을 다시한번 확인해 주었습니다. 모두가 인정하는 유력한 인물이라 정치적 활용도가 아주 높은 존재이지요. 그동안 보혁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 더보기 돈(자본주의)에 대하여... 자본주의 국가 미국 자본주의가 대세를 형성하고 있는 지구에서 돈을 생각하지 않으면 살아가기 힘들지요. 모든 사람들의 생각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이 바로 자본, 그리고 경제라는 생존의 먹이 사슬입니다. 이 먹이사슬의 정점을 차지하고 좌지우지하고 있는 나라가 미국이지요. 달러라는 기축통화.. 더보기 패권변동기의 올바른 선택 역사를 둘러보면 패권의 전환기에 흥하고 망하는 국가들의 유형이 비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 패권국이나 이를 넘어뜨리고 등장하는 신흥 패권국이나 서로 자웅을 겨루는 사이이니 세의 흐름을 놓칠리는 없지요. 문제는 그 주변국들 입니다. 기존 패권국에 끝까지 매달리다가 된서리를 .. 더보기 Crete님... 현미경으로 바깥세상을 논하지 맙시다. crete 님 글... 검은색 이 중 시사우화가 오류를 지적한 부분...적색 시사우화 의견...파란색 제목은 섹시하지만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자면 실제 역사는 그렇다고 증명합니다. 국가의 운명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마지막 승부처라면 핵이 관건이 되지만 현대사의 발자취를 쫓아가 보면 핵 보유국이라고 .. 더보기 핵보유국이 전쟁을 에너지로 하나? 전쟁중... 1. 하급 승리는 박터지게 싸워서 이긴다. 2. 중급 승리는 아측 피해를 상대측 피해보다 적게해서 이긴다. 3. 상급 승리는 싸우지 않고서도 이긴다. 이정도면 대략 이긴다는 것을 득실별로 분류해 놓은것 같은데요. 첫번째는 득실의 차이는 없지만 최후까지 버티는 놈이라서 승리를 거머쥐는 가.. 더보기 이명박 전시장이 대통령이 될 수 없는이유... 이명박 전시장을 유력한 차기 주자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입니다. 드러나는 현상으로 볼때는 맞는 판단이지만 그 이면을 엿보면 각종 지뢰가 한둘이 아님을 발견하게됩니다. 이걸 적나라하게 늘어놓았을 때도 그렇게 평가할 수 있을지... 아마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까지는 그 신기루가 .. 더보기 개혁... 무엇이 문제인가? 흔히 개혁 하면 무언가 발전적인 개선으로 받아들입니다. 뜻 또한 그렇구요. 하지만 대부분의 개혁... 특히 위로 부터의 개혁... 책상물림들의 개혁은 개악에 머물게 되어 안하게 더 좋은 경우가 다반사죠. 역사를 살피면 모든 권력은 전임 권력의 오류를 비판하며 민심을 등에업고 쟁취하게 됩니다. 그.. 더보기 이전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