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역사문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랑하는 마음 사랑... 가슴 두근거리는 말인데요.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그렇지는 않을겁니다. 성장환경 때문에 가슴이 닫혀버린 사람도 있고 사랑의 상처가 빗장을 걸어잠근 경우도 있습니다. 한번 닫힌 마음은 쉽게 열리지를 않지요. 닫힐때의 아픔보다 더 피말리는 노력을 기울인다고 해도 약간 열렸다가 도로 닫.. 더보기 어떠한 통일이어야 하는가... 국가사회의 움직임은 개인의 행보와는 다른면이 있습니다. 한걸음을 떼는데 수천년이 걸리기도 하거든요. 머리가 바뀐다고 팔다리가 한꺼번에 움직여 지지를 않습니다. 현상을 진단하는 것과 체화하는 것이 국가사회를 주제로 했을때 상호 간극이 큰 이유이기도 하지요. 머리를 따라가느냐... 몸통을.. 더보기 발음과 문화 말소리를 가만히 들어보면 아주 다양한 발음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자음에 힘을 주고 억양을 특정마디에 두어 독특한 어투를 만들어 냅니다. 아마도 말의 뜻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정확한 발음을 기반으로 개성을 만들어 갈 수 있기 때문에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 더보기 직업의 스승역할... 무작위로 들어오는 일들을 관리하기 위해 외부로 돌아다녀야 하는 업이다 보니 가끔 인터넷에 벌여놓은 논쟁을 마무리 하지 않는 결례를 범하기도 합니다. 차량이 뜸한 밤 시간이나 휴일이 이동하기에 더 편한 터라 일정을 늦추어 잡는 습관이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자정즈음에 글을 쓰는 경우가 많.. 더보기 역사의 거보가 지축을 흔들때... 스스로 만물의 영장이라고 자부하는 사람들은 인간의 발바닥이 덮어가는 땅위의 위험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죽어가는 개미의 초근시안력을 탓하며 미물이라고 폄하하곤 합니다. 사람의 시력은 그러한 위험을 볼수있으며 안전하게 피할수 있는 지적판단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우월감이죠. 그런데 깨달.. 더보기 예술바둑 예술이라는 것, 미술이라는 것이 특별한게 아닙니다. 혹자는 화투장 가지고 그림을 그리고 어떤이는 점을찍어 화폭을 메웁니다. 다 같은 그림이고 예술행위지만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는 가로 독창적 영역을 구축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더군요. 한마디로 자기 영역을 확보하는 게 예술적 고뇌라는 겁니.. 더보기 독도 인터넷 특별시 독도분쟁 일본의 연례행사가 독도 건드려 보기입니다. 그 발단이 식민지 배상청구를 졸속으로 마무리 했던 김종필-오하라간 한일협정회담 이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이때부터 일본은 독도문제를 국제사법 재판소로 끌고가려는 야심을 숨기지 않아왔었습니다. 한일협정이 체결된 1964.. 더보기 우리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전도사를 자처하는 나라가 미국입니다. 나름대로 자부심도 크고 한국 같은 나라의 일부 국민들이 모범으로 추앙하기도 합니다. 이들은 거의 신앙적 숭배자에 가깝죠. 단순하게 바라보면 미국의 민주주의는 따라가기 힘든 대국의 경지인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미국.. 더보기 새로운 권력을 두려워 하는 진보 가위 눌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지레짐작으로 경기를 일으킨다는 뜻도 되지요. 줄기세포 보고 놀란 새가슴들이 이무기 보고 자지러지고 있습니다. 이게 뭔 호들갑인지... 지성의 보루인양 행세하던 진보들의 꼬라지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반황우석 선봉에 섰던 진중권이 광기어린 독설을 퍼붇더니 줄.. 더보기 권력의 도태 모 영어강사 이외에 학력문제로 물러난 교수들은 풍족하게 자랐던 사람이라고 하더군요. 그 가문적 배경을 이용했을 수 도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대학교수 자리를 사고판다고 합니다. 심지어 고등학교 교사도 돈으로 되더군요. 저도 한다리 건너 확인할 수 있었던 사례입니다. 남다른 배경과 편법.. 더보기 몰락의 시대... 전문가의 퇴조 어떤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체계적 식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전문가라고 합니다. 이들이 머리속에 담고 있는 체계적 지식의 가치가 직업을 만들어 왔지요. 교수, 평론가, 기자등이 대표적인 직업군 입니다. 이러한 직업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정보를 습득해서 수십년.. 더보기 우상에 대하여... 한때 단군상의 목을 자르는 극우 기독교도들의 행동이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습니다. 우상이라는 것이지요. 우상을 섬기지 말라는 말씀을 실천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우상이라는 말뜻을 알고나 그러는 것인지 궁금해 지더군요. 진정한 신이 아닌 사람이나, 기물등을 신성시하는 것을 우상화라고 할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