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이 닿으면/비지니스 모델

담수 테트라포드

바닷가에 가보면 방파제 내외항에 쌓아 파도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발이 네개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습니다. 이것을 테트라포드라고 하는데요. 수중식물의 서식처 및 물고기의 은신처 역할까지 해주어 어패류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그 무게가 수십톤에 이르지만 초대형 태풍을 막기위한 것중에는 64톤이 넘는 것도 있습니다. 64톤짜리 한개를 제작하는 데 250포대 분량의 시멘트가 들어가고 가격은 2000년 8월 기준으로 74000만원 정도 한다는 군요.

 

바닷가에서 파도를 막아주는 테트라포트는 특별한 기능이 더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를 비워 담수기능을 장치한 테트라포트를 내륙에 설치한다면 연례행사로 치루고 있는 개천이나 강의 둑의 붕괴를 막는 동시에 수자원을 저장할 수 있게 될겁니다.

 

 

 

위의 그림이 바로 내륙용 담수 테트라포트 입니다. 좌측의 그림처럼 내부가 비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네개의 발끝에 각각 우측 하단에 보이는 물 유출입 통제장치를 부착합니다. 이 통제장치 내부에 있는 고무가 수압에 의해 개폐되면서 담수기능을 조절합니다.

 

고무가 외부의 물에 의해 안으로 밀려들어 가면 유입공간이 생기고 그 틈을 통해 외부의 물이 테트라포트 내부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후 테트라포트 외부의 물이 빠지거나 수압이 약해지면 내부수압에 의해 고무가 밖으로 밀려나가면서 통로를 막아버리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테트라포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어 갇히게 되는데요. 개폐장치를 테트라포트 네발끝에 장치할 때 약간의 틈을 주어 일주일이나 여러달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내부에 담겨있던 물이 서서히 밖으로 흘러나가게 만들어 놓아 강과 개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됩니다.

 

물을 가두어 놓는 기간은 테트라포트 내부에 고여있는 상태에서 물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시험해 결정하면 될겁니다. 이러한 테트라포드를 일정량 이상 개천변과 강변에 배열해 놓을경우 둑을 보호하는 동시에 장기간에 걸친 수량분산으로 수자원 활용도를 높일수 있습니다.

 

이러한 담수 테트라포드는 한국처럼 강우량이 일시에 집중되는 국토에 적합한 기능을 가집니다. 장마기간 동안 내린빗물을 저장해 놓았다가 한달여 정도에 걸쳐 서서히 유출시킨다면 강과 개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해 농공업 용수를 안정정으로 공급하게 되겠지요.

 

인도의 갠지즈강등 갑자기 불어난 강물이 토사를 붕괴시키는 현상이 큰 지역도 이러한 담수 테트라포트가 절실하게 필요한 곳일겁니다. 물의힘이 집중적으로 모여 파괴력을 형성하는 곡선구간에 설치해 토사의 유실도 막고 담수기능으로 수량도 조절할 수 있으니까요.

 

한번에 왕창 쏟아진 후 일시에 빠져 버리는 사막지역의 수량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담수기능을 가진 담수 테트라포트를 물길이 지나가는 지역에 쌓아 놓으면 됩니다. 범람해 주변 농지를 망가뜨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막에도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물을 가둘수 있게됩니다.

 

이것을 사막방지 녹화방법과 같이 묶어서 활용할 경우 상당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 연결된 글이 사막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도로와 송전 및 송수, 송유와 녹지화, 농지화를 추진하는 방법입니다. 사막지역에 대한 종합대책이 될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realmapl/4787307

 

사막녹화 사업과 한반도에서 출발하는 대륙횡단 철도를 축으로 도로확충과 도시를 건설해 나가는 방법을 연결한다면 범지구 단위의 경제부흥을 끌어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실물이 뒷받침 된 거대한 경기부양이 아니면 미국경제의 서거를 늦출수 없을겁니다. http://blog.daum.net/realmapl/13176379

 

테트라포드의 네발에 모두 물 유출입 통제장치를 두는 것은 어떠한 위치로 시공을 하든 상관없이 그 기능이 작동하도록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아랫쪽에 위치한 곳으로 수압이 작용하고 이곳이 막히면 물을 가둘수 있게 됩니다.

 

또한, 나머지 세곳에 있는 물 유출입 통제장치는 내부수압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물속에 잠길경우 쉽게 열려 내부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담수 테트라포트는 장치할 장소의 유속을 측정해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무게로 제작하면 됩니다.

 

이 장치가 바다속 인공어장 역할을 하듯 내륙에서도 같은 역할을 해주겠지요. 어자원까지 풍족하게 만들어 준다면 금상첨화일 겁니다. 단순하게 물길을 막는 댐이나 일본식 대형 터널 보다는 담수용 테트라포트가 더 환경친화적 이면서도 적합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