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적으로 답하기 어렵다면 제 블로그 교감게시판에 비밀글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온오프의 재정상태가 어떤지요? 발행재개가 가능한 것인지... http://blog.daum.net/realmapl
제 생각엔 부담되는 잡지발행은 회원들의 양해를 통해 접어두고 웹진으로 가시는게 어떨까합니다. 전부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 온오프에 글을 올리지 않았었습니다. 길게보면 잡지발행이 족쇄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웹진으로 방향을 전환한다면 제대로 된 수익구조를 만들어 가면서 정치종교가 아닌 생활정치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초기에는 서프를 중심으로 인터넷 재판소를 운영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7월 개편을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지금처럼 빠논리가 기승을 부린다면 사회통합을 공론화 하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노하우21은 현실과 유리된 글자랑이 대부분인 것 같고 그나마 객관적인 입장에서 개혁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인곳이 온오프 이더군요.
그런데 위에 말씀드린대로 선입금 받으신 구독료가 걸림돌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휴간이 향후 재발하지 않고 기존 회원들에게 계속 잡지를 보내드릴 수 있다면 모르되 그렇지 않다면 미리 결단을 내리는 것이 좋지 않을런지... (현재 온오프의 정책과 사정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하는 말이니 다른 시각으로 보지는 마세요)
현재 게릴라 무가지를 서프에 제안했던 것을 철회해 놓은 상태입니다. 이것과 인터넷 재판소가 웹진과 결합하면 회원들의 금전적인 부담 없이도 자체 수익 만으로 운영이 가능한 상태로 성장시킬 수 있을듯 한데요.
가급적이면 공공성이 담보되는 비영리 법인으로 시작하되 서프처럼 독자들 돈 걷어 장사하는 것이 아닌 정도를 가는 순수함을 기반으로 시작했으면 좋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국가 위난시 방향을 제시해서 국민들의 마음을 결집시켜 줄 원로들이 없습니다. 모두다 진영논리에 매몰된 꾼들일 뿐입니다.
대부분의 시민단체들은 국가의 보조를 받아 금전적으로 의지하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그러다 보니 이들 단체가 목소리를 내도 객관성이 결여되어 안하느니만 못한 결과가 나오지요.
처음엔 인터넷 재판소 도메인과 운영방안을 반크에 양도하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그 시기 즈음해서 반크에도 정부의 지원이 시작되더군요.
독도 문제로 목소리를 높여야 할 인터넷 재판소가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는 단체에서 운영할 경우 그 취지를 살려 상식선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힘들지요. 오히려 관변단체를 이용한다고 일본의 역공이나 받겠지요. 그래서 포기했습니다.
독도 문제 뿐만이 아니라 사건도 많고 분란도 많은 것이 국가의 규모적 현상이라 국제정세가 급변하기 시작하며 국론통일이 절실해지는 지금 그 구심점이 아쉽습니다.
인터넷 재판소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시작한다면 진영논리를 벗어나 제 구성원의 이해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게 될겁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치열한 노력이 있어야 하겠지요. 그래서 온오프에 제안을 하는 겁니다. 공공성을 전제로 합리적인 담론을 도출해 내는 역할을 하자는 것입니다.
제안은 이쯤에서 맺기로 하고 이곳에 계시는 분들 중 인터넷 재판소의 운영자를 해보실 분은 안계십니까? 조건은 불편부당함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 하나입니다.
저는 운영자로 선임되신 분이 독단적 전횡을 하시는지만 감시하는 역할에 머물려고 합니다. 웹진과 결합되어 게릴라 무가지로 중무장한 대한민국의 진정성있고 힘있는 젊은 원로들의 무대로 인터넷 재판소가 역할했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넷 공화국 > 인터넷 사법재판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기세포 사건 제소요건 (0) | 2006.06.18 |
---|---|
인터넷 재판소 출항-줄기사태 제소 (0) | 2006.06.15 |
인터넷 배심원이 되어 보시겠습니까? (0) | 2006.04.25 |
대일본 인터넷 선전포고 (0) | 200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