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전화 및 컴퓨터 글자 속성 입력판
[특징]
왼손으로 자음, 오른손으로 모음 또는 위치바꾸기 기능을 부여해 왼손으로 모음, 오른손으로 자음을 동시에 입력하는 게 가능하다. 손가락 한개씩 사용할수도 있고, 세개씩 사용해 입력속도를 높일수도 있다.
[자음]
자음의 배치는 글자의 모양이 기준이다. ㄱ, ㄴ, ㄷ, ㄹ, ㅂ, ㅅ 의 시각적 중간부분을, ㅁ 은 끝부분을, ㅇ 은 ㅅ과 대치되는 곳에 두었고, ㅈ 은 시작 부분에 배치해 시각과 자음의 모양과 위치를 되도록 일치시켰다.
그리고 ㅊ 은 ㅈ에서 오른쪽으로 긋고, ㅋ 은 ㄱ에 선을 그어 실제 글자를 쓰는 것과 일치시켰다. ㅌ 은 ㄷ에 선을 그어 쓰고, ㅍ은 윗줄과 가운데줄 사이에 내리그어 쓰는 모양으로 배치했다.
[모음]
점으로 구성된 기본모음을 시각적으로 배치했다. 위아래 모음(ㅣ 와 ㅡ)은 생략하고... 위쪽 점 하나는 ㅗ, 둘은 ㅛ다. 아래쪽 점 하나는 ㅜ, 둘은 ㅠ다. 왼쪽 점 하나는 ㅓ, 둘은 ㅕ다. 오른쪽 점 하나는 ㅏ, 둘은 ㅑ다.
그리고 핵심모음인 ㅣ는 한번, 두번 누르면 ㅡ다. 이런 배치는 모음의 글자모양과 그대로 일치한다. 따로 외울 필요없이 보는 즉시 사용이 가능한 직관적구조다. ㅡ 와 ㅣ 의 순서를 바꾸어도 된다.
1. 자음판
기본자음은 한번, 쌍자음은 두번 누른다.
2. 모음판
점하나 모음은 한번, 점둘 모음은 두번 누른다.
기본 모음인 이는 한번, 으는 두번 누른다.
ㅐ = ㅣ + ㅓ, ㅏ + ㅣ
ㅒ = ㅣ + ㅕ, ㅑ + ㅣ
ㅔ = ㅓ + ㅣ
ㅖ = ㅕ + ㅣ
3. 치읓판
ㅈ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민다.
4. 키읔판
앞칸에서 우측으로 ㄱ 까지 긋는다.
5. 티긑판
ㄷ 에서 우측칸으로 긋는다.
6. 피읍판
ㅂ 위칸에서 내리 긋는다.
'세상만사 > 실용고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내의(半內衣) 반상의(半上衣) (0) | 2013.10.04 |
---|---|
손가락 관절반지 치료법 (0) | 2013.04.29 |
태양열취수장치 (0) | 2012.07.02 |
오목잡이 병 (0) | 2012.05.15 |
표적탄(표적위치 발신유도 탄환)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