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만사/실용고안

미끄러짐 입력방법과 자판

가. 휴대전화

 

모음 입력시 "ㅙ, ㅞ"의 경우 최대 다섯번을 눌러야 한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미끄러짐 입력방식을 착안했다. 모음자판을 손가락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미끄러 지며 건드릴 경우 대부분 자동조합으로 모음이 입력된다.

 

다만, "."을 앞에 입력하고 중간에 "ㅡ", "ㅣ"를 입력한 후 뒤에 또 "."을 입력할 경우 조합이 되지 않는데 이것을 "."중복으로 치환하면 100% 미끄러짐 모음입력이 가능하다. 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ㅙ, ㅞ" 입력시 두번의 미끄러짐과 한번의 "ㅣ" 누름 총 세번의 동작으로 해결된다.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휴대전화는 "."모음이 "ㅡ"와 "ㅣ"의 앞뒤로 놓일때 중복으로 치환하는 처리만 프로그램 하면 어떤 미끄러짐 순서에도 100%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아래의 미끄러짐 모음 입력방법을 사용하면 현재의 휴대전화로도 대부분의 모음 입력이 가능하다.

 

ㅕ의 경우 . 을 먼저 찍은 후 . 에서 ㅣ 로 미끄러지면 입력이되고, ㅛ 의 경우 . 을 먼저 찍은 후 . 에서 ㅡ 로 미끄러지면 입력이 된다.

 

 

 1. (ㅏ, ㅑ), (ㅓ, ㅕ), (ㅗ, ㅛ), (ㅜ,ㅠ)의 입력방법 예시(좌우 화살표는 미끄러지는 방향과 범위를 나타낸다. 즉, "ㅣ"에서 "."로 미끄러지면 "ㅏ"가 만들어 지고 ""."에서 "ㅣ"로 미끄러지면 "ㅓ"가 만들어 진다.) 모음단추 세개에 연속된 가로홈을 파놓으면 미끄러짐 입력이 보다 수월할 것이다.

 

2. "ㅒ"의 입력방법 예시 및 뒤모음 "."의 입력시 처리 방법 

 

3. "ㅞ", "ㅙ", "ㅝ", ㅘ"의 입력방법 예시 

 

 

나. 컴퓨터 자판 - 아래 그림처럼 기존 자판을 그대로 사용하되 좌측 자음부분을 왼손 전담으로, 우측에 미끄러짐 모음키를 배치해 우측 손가락 하나로 모음입력을 전담하게 한다. 한글의 입력시 모음을 손가락 하나가 미끄러지며 다 입력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다. 기존자판 미끄러짐 입력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