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고속도로
1. 중앙에 1개의 물류전용차선을 지정해서 대형고중량 화물차량의 통행속도를 확보
2. 콘테이너 차량등 수출용 과 내수용 대형화물 용
물류 고가도로
1. 고속도로 갓길부분과 그 옆에서 경사면을 이루며 쌓여있는 제방에 고가기둥을 세워 부지매입 비용을 최소화
2. 상하행 각 2개 총 4차선을 가설해 경량중소형 화물차량 전용의 물류고속도로 확보
3. 물류차량 전용 입출로를 물류복합센터와 결합시켜 최적의 통행속도 확보
4. 내수용 화물이 주를 이룰것으로 판단됨
전철 고가도로
1. 물류고가도로 반대편 고속도로 가장자리에 전철용 고가도로를 가설
2. 승객전용, 화물전용, 승객 + 화물 등 승객 및 물동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운행
3. 고속도로를 사용하는 개인 승용차 및 화물수송 차량을 일정부분 대체해서 기존 고속도로의 점유율을 대폭 떨어뜨려 통행속도 개선 효과가 있을 것
물류 복합 소도시(센타)
1. 기존 인터체인지 지근거리에 기존의 지상전철 역사와 비슷한 형태의 고속도로 위를 뒤덮는 대형 빌딩과 지상 근린시설을 건설
2. 물류고가 인터체인지 + 전철역사 + 농수산 및 일반 화물창고 + 지역특산물 매장 + 고속도로 휴게실 + 사무실 + 숙박시설 + 주유소 + 차량 정비소 + 물류회사 전용창고 + 주차장 + 버스 및 일반차량 환승소
3. 하나의 인공 소도시 형태로 개발해 토지 이용률을 높여 고속도로 지상부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지선 지하철망
1. 복합도로가 지나가는 인근 대도시의 지하철이 경유하게 만들어 환승센터로 역할
2. 새로운 교통수요가 충족될 경우 물류복합 센타를 중심으로 지하철이나 경전철을 가설
3. 전철과 지하철을 연결해 중간에서 발생하던 차량수요를 제거하는 교통망 최적화 가능
고속도로 특성에 따른 적용
모든 고속도로의 물동량 유형이 같지는 않을것, 따라서 포화상태에 있는 고속도로의 통행차량 유형에 따라 다르게 건설해야 함
2. 물류중앙 차선만 - 물류전용 차선만을 두어 화물차량의 통행속도를 개선해도 일반 차량이 일정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
3. 물류중앙차선 + 물류고가도로 - 물류전용 차선을 둘 경우 일반차량의 통행속도가 심각하게 느려지는 경우
4. 물류중앙차선 + 물류고가도로 + 전철고가도로 - 물류고가도로 까지 두어도 목표한 속도개선을 이루어 내기 힘들경우
'생활정치 > 네티즌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도시 및 남북교통망 통합재원 마련 방법 (0) | 2007.11.26 |
---|---|
고속도시 (0) | 2007.11.19 |
신민주주의 - 국민이 권력주체로... (0) | 2007.10.13 |
대운하 반대-한반도 운하가 변화시키는 국토안보 (0) | 2007.09.29 |
국가권력 개혁방안(일극양정제 + 오극균형) (0) | 2007.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