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신호만 주고받던 VGA 포트와 신호케이블에 본체 SMPS에서 모니터 전원을 공급해줄수 있는 연결부(단자)와 USB포트 연결부(단자), AUDIO(SPEAKER, MIKE) 연결부(단자), 본체 전원 on/OFF S/W 연결부(단자)를 추가해 모니터에 모든 컴퓨터 사용환경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그림 1. 아래 그림은 위 기능이 추가된 VGA 포트와 연결되는 LCD 모니터의 AD 보드의 구성과 회로분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림 2. 아래 그림은 기존의 신호부인 A, 위 기능이 추가된 B가 하나의 VGA 포트를 이루고 그래픽카드 옆단에 연결부를 두어 케이블로 전원과 USB, AUDIO, 본체 on/OFF S/W부를 연결하는 과도기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림 3. 아래 그림은 메인보드의 VGA 슬롯에 위의 모든 기능이 케이블이 아닌, 케이블이 생략된 메인보드 자체의 회로로 연결되는 완성된 방식을 예시한 것이다. 그래픽 카드와 메인보드가 연결되는 슬롯 b단이 VGA 포트의 B, a단이 VGA 포트의 A로 회로구성을 통해 직접 연결된다.
이 구조는 메인보드에서 직접 그래픽 카드로 PC의 입출력 및 구동기능을 단 하나의 선을 통해 이동시켜 모니터에서 컴퓨터 동작의 모든것을 제어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해 준다. 또한, USB의 기능을 극대화 시켜 패러럴, 시리얼, AUDIO포트등을 모두 생략해 메인보드의 최소형화가 가능한 방법이다.
그림 4. 아래 그림은 기존 PC를 통합형 모니터에 연결하는 구성도이다.
그림 5. 아래 그림은 모니터로 이전된 입출력부가 중복을 피해 본체의 메인보드에서 생략된 경우의 예시이다. 메인보드에 무선랜카드를 내장할 경우 아래 그림처럼 본체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선 1개와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해주는 선 1개 총 2개의 선만으로 PC 환경이 보장된다.
그림 6. 부가설명
가. 더 발전 시킨다면 본체 메인보드에 부가 되었던 PS2 포트, USB 포트, AUDIO 포트, 패러럴등을 모두 생략하는 게 가능하다.
나. 즉, 메인보드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것을 VGA가 담당... 단, 랜은 본체에 두는 것이 효율적이다(무선랜 내장시엔 완전히 생략가능하다.) -> 메인보드 최소형화가 가능해짐
다. CD-ROM은 USB 외장형으로 별도 판매하면 됨 - 필요한 사용자만 구입해서 모니터에 있는 USB 허브에 연결해 사용하면 된다.
라. 모니터에 스피커와 마이크, WEB CAM까자 내장시키면 본체엔 POWER선 1개와 모니터 연결선 1개 총 2개의 선으로 PC환경이 구현된다.
마. 내장 그래픽 카드(메인보드 통합형)일 경우 메인보드 회로를 보드에 장착된 VGA 포트로 연결해서 구성하면 된다.
바. 키보드와 마우스는 모니터에 있는 전원공급(유전원)USB 허브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된다.
'세상만사 > 실용고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CD 모니터 전원공급 - 2 (0) | 2011.09.08 |
---|---|
손목받침 밴드 (0) | 2011.01.16 |
LCD 모니터 전원공급 (0) | 2010.06.25 |
날개융합 키보드 (0) | 2010.05.16 |
모음 미끄러짐 입력방법 (0) | 2010.03.09 |